아프리카 지역, 황열 발생

국외
필요한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.

아프리카 지역, 황열 발생

관리자 0 1238

2024-03-20

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한 황열(Yellow fever virus,YF) 

 

2023년 황열에 대한 데이터

  ○ 치명율:11% 

  ○ 남:녀 비율은 1.7% 

  ○ 환자의 중위 연령은 25세 케이스의 3분의 2(69%)15세 이상

  ○ 부적절한 감시 능력과 데이터 간편화

  ○ 임상 시스템과의 제한된 통합

  ○ 표준화된 케이스 정의 부재로 인해 보고가 누락되고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음

 

아프리카 지역 국가별 발생현황

  ○ 카메룬(Cameroon): 3건의 황열이 확인됨 

  ○ 차드(Chad): 마요-케비 서부 지역 레레 지구에서 PCR 양성 황열 사례가 보고됨

  ○ 콩고공화국(Republic of the Congo): 현재 추가 정보는 없음

  ○ 콩고민주공화국(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): 1건의 황열 PCR 양성 사례가 보고됨

  ○ 기니(Guinea): 3건의 황열 양성 사례가 보고됨

  ○ 니제르(Niger): 타후아 도시에서 사례가 보고됨

  ○ 나이지리아(Nigeria): 라고스주에서 49세 남성에서 황열 사례가 보고됨

  ○ 남수단(South Sudan): 바이러스성 출혈열로 인한 사망 후 확인된 황열 사례가 보고되고 추가로 2건의 사례가 확인됨

  ○ 토고(Togo): 말라리아 진단 검사에서 양성을 보인 7세 여성의 사례가 분류 대기 중임

 

황열(Yellow fever virus, YF)이란?

  ○ 모기의 물림을 통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바이러스로 예방할 수 있는 전염병임 

  ○ 잠복기는 3~6

  ○ 가장 흔한 증상은 발열, 두통, 식욕부진, 구토, 메스꺼움과 함께 주로 등 통증과 근육통증이고 대부분의 증상은 3~4일후에 사라짐

  ○ 증상이 악화하는 경우 간과 신장에 영향을 주는 체계적 감염이 발생하며 이러한 사람들은 고열, 구토를 동반한 복통, 황달 및

      급성 간 및 신부전으로 인한 어두운 소변으로 더 심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고 입, , 눈 또는 위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 있음

  ○ 심한 증상을 보이는 경우 약 7~10일 이내에 사망할 수 있음

  ○ 황열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으로 예방, 단일 접종으로 지속적인 면역이 가능함 또한 추가 접종은 필요하지 않음

  ○ 백신은 10일 이내에 80~100%의 접종자에게 효과적인 면역을 제공하며 30일 이내에는 99% 이상의 접종자에게 면역을 제공함

 

공중보건 대응

  ○ 아프리카 국가들은 예방 조치, 감시 강화 및 반응적 백신 접종 캠페인에 중점을 둔 국가 대응 계획을 개발하고 시행했음 

  ○ 1,740만 명의 어린이가 아프리카에서 정기 예방 접종을 통해 보호받고 있음

  ○ 카메룬,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및 기니 등 일부 국가에서는 조기 감지 및 증상 추적을 위한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

  ○ 황열 발병 대응의 중요한 것은 백신 접종 캠페인임

  ○ 지역사회 참여 접근 방식은 황열 위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방 조치와 백신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표적 지향적 의사소통임


황열에 대한 세계 보건 기구의 신속한 위험 평가

  ○ 2024212일 세계 보건 기구는 황열에 대한 평가를 수행했음 

  ○ 지역적으로 발생 중인 다수의 황열 발병의 현재 위험을 재평가하고 예방 접종 캠페인 이력 및

      지속되는 면역 차이를 보인 국가들에서 황열 발병의 재발에 대응하는 노력을 평가했음

  ○ 식량 불안정성, 복잡한 인도적 맥락과 같은 요인이 있음


세계 보건 기구의 권고사항

  ○ 황열 위험 국가에서 오가는 여행자들에 대해 백신 접종 증명이 요구됨 

  ○ 황열 전파 위험 지역으로 가는 모든 국제 여행자에게 예방 접종을 권장함

  ○ 여행자들에게 황열 위험과 예방 조치에 대해 알리고,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의료지원을 받도록 함

  ○ 황열과 관련된 국가에 여행을 권장하지 않음

  ○ 전파하는 성격을 고려하여 WHO 회원국들이 최신 정보와 기준을 확인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권장함






해당 자료는 감염병 이슈 공유를 위한 국외 자료를 바탕으로 국문으로 작성되었으며본 글로피드-알 코리아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.

원문은 글로피드-알 코리아 홈페이지(https://www.glopid-r-korea.kr/)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원문출처 Link

배너이미지 출처 : WHO Africa Regi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