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ronavirus Vaccines R&D Roadmap
□ 광범위한 보호 기능을 가진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연구 및 개발을 위한 로드맵(Coronavirus Vaccines Roadmap, CVR) 수립
※ 미네소타대학교 감염병연구정책센터(CIDRAP) 주도, 빌앤멜린다 게이츠 재단 및 록펠러 재단 지원
○ 본 로드맵은 연구개발 촉진, 자금 조정, 이해관계자 참여를 위한 전략적 도구로 사용됨
- (주제) 코로나바이러스 문제, 백신 연구개발 장애물, 격차,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전략 목표 및 실행 단계(마일스톤) 포함
- (마일스톤) 주요 전략 목표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활동으로, SMART 기준(구체적, 측정 가능, 달성 가능, 현실적, 신속)을 반영하여 백신 개발 완료 기한을 포함
- 장기 목표 지향, 단기적으로 자원이 적게 소모되는 실용적인 접근을 통한 초기 단계의 광범위한 보호 백신 개발 모색
- SARS-CoV-2의 높은 전염성과 지속적인 신종 변이 출현에 따라 효과있는 백신 개발 필요
- 현재 SARS-CoV-2 백신의 한정된 면역 지속, 신종 변이에 대한 제한적인 보호 한계점에 따라 높은 효과 및 지속가능한 백신 개발이 필요함
○ 연구개발 핵심 목표는 전 세계적으로 사용 가능한 백신을 개발하는 것이며, 백신의 내구성과 신종 변이에 대한 방어력 고도화
- 백신 개발 과정의 글로벌 공평성 우선, 적은 자원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백신 개발 필요
□ 광범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개발, 특정 시간 내 달성 가능한 주요 활동 전략
○ 백신 개발 과정 중 기술적 문제, 도전 과제인 장애물을 분석, 명확한 연구개발 활동 방향 및 범위 설정
○ 본 로드맵에서 명시된 장기적인 연구 우선순위 기반 마일스톤 내 달성 목표
- 백신 연구 및 개발 진전을 위한 고 우선순위 마일스톤은 본 로드맵 운영위 검토를 통해 선정
- 추가 연구 우선순위는 전략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, 우선순위 미해당 또는 SMART 기준에 맞지 않는 주제 포함하는 경우도 있음
□ 코로나바이러스 분류
○ 코로나바이러스는 외피를 가진 (+) 단일가닥 RNA 바이러스로 알파(α), 베타(β), 감마(γ), 델타(δ) 코로나바이러스 네 가지 속(genera)으로 분류됨
- 코로나바이러스 4 genera 모두 포유류 또는 조류 동물 감염, α와 β 코로나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인체감염 가능
- 최근 돼지 δ 코로나바이러스 인간에게 전염 사례 보고
- α 코로나바이러스 29E, NL63 인체 감기 유발
- β 코로나바이러스 SARS-CoV, SARS-CoV-2, MERS-CoV 중증 질환 유발, 바이러스 KU1, OC43 경미한 상기 감염 유발
○ β 코로나바이러스는 embecovirus, sarbecovirus, merbecovirus 등 5개 sub-genera 으로 분류
- SARS-CoV, SARS-CoV-2는 sarbecovirus 속으로, MERS-CoV는 merbecovirus 속으로 분류됨
□ 인체감염 고병원성 베타 코로나바이러스 발생 역사
○ (SARS-CoV) 2002년 중국 광둥성 첫 발견, 전 세계 확산 8,000여 건 감염, 774명의 사망(CFR 약 10%)
- 의료 시설 확산 주요 원인, 전통적 공중 보건 방법 및 감염 통제 조치 확산 차단
○ (MERS-CoV)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첫 발견, 중동 지역 내 낮은 발생률로 지속적인 발생
- 전 세계 약 2,600건 감염 사례, 35% 높은 치사율
- 사람 간 전파 가능, 낮은 전파 효율은 확산 범위는 제한적임
○ (SARS-CoV-2) 2019년 말 중국 우한 발생, 빠른 확산, 2020년 3월 국제보건기구 팬데믹 선언
- 전 세계 6억 5천만 건 이상 감염, 660만 건 이상 사망(CFR 약 1%)
- 높은 전염성 및 잦은 변이 발생으로 공중 보건에 큰 영향을 미침, 2020년 12월 백신 긴급 사용 승인
원문 출처 Link