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WHO] global framework to define and guide studies into the origins of emerging and re-emerging pathogens with epidemic and pandemic potential

주요자료
필요한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.

[WHO] global framework to define and guide studies into the origins of emerging and re-emerging pathogens with epidemic and pandemic potential

관리자 0 104

2024-09-4


□ 보고서 주요 내용

 ○ 감염병 발생 조사 방법 중 신규 병원체 초기 출현 또는 재출현 기원 조사 접근 방식 부재

 ○ 본 프레임워크는 감염병 및 팬데믹 가능성이 있는 신종 및 재유행 병원체 기원 규명 조사 권고 사항 및 연구 방법 제공을 통한 연구 격차 해소를 목표로 함

   - 신종 병원체 출현 대비·대응법 보안

   - 국가별 본 프레임워크의 조사를 수행하기 위한 필수 역량 구축 필요

 ○ 발병 병원체 출처 조기 확인을 통한 대규모 확산 예방 및 전파 경로 차단 가능

   - 사람 간 전파 발생 경우, 동물 숙주, 매개체, 환경적 출처 확인을 통한 재유입 차단, 신속한 공중보건 조치

   - 실험실의 생물안전 문제 발생의 경우, 재발 방지를 위한 개선 조치 마련 가능

 ○ 발병이 처음 감지된 즉시 첫 사례가 감지된 장소에서 병원체 기원 조사 시작

   - 관련 샘플 신속 수집 필요

   - 병원체 발견, 분리, 유전체분석, 특성화(characterization) 수행이 가능한 실험실로 제출

   - 진단시험개발 및 병원체 진화·전파 pattern 확인

 ○ 병원체가 처음 감지된 국가에서는 임상의학, 역학, 미생물학, 분자생물학, 수의학, 환경학 등 전문가들이 포함된 다학문적 조사(연구)팀 설치

   - 필요에 따라 해당 국가 연구팀은 WHO 및 4개 협력체의 타 회원국(유엔식량농업기구, 유엔환경계획, 세계동물보건기구), 글로벌 경보 및 대응 네트워크(GOARN) 등 국제 파트너에게 기술 지원 요청

   - 2005년 국제보건규약에 따라 공중보건 비상사태 가능성 사건 조사 시, 회원국은 WHO 및 관련 당국과 정기적으로 소통 및 결과 공유, 전문 네트워크 연결 필요

   - 연구팀은 조사 결과에 대한 보고서 작성, 권고안 제공, 다음 단계 안내 필요 

 ○ 권장하는 조사로는 기원이 불명확한 신종 병원체를 대상으로 하지만, 에볼라, 인플루엔자, 라싸열, 엠폭스 등 감염병 및 팬데믹 가능성이 있는 재출현 병원체도 권장함

 ○ 감염병 또는 팬데믹 가능성이 있는 병원체 기원 규명을 위한 필수 조사 및 연구의 여섯 가지 기술 요소 제시

   1) 초기 사례 식별, 임상 및 역학적 특징 조사, 미생물학적 진단 및 배포를 위한 검체 제공을 통해 후속 조사에 필요한 방향 설정 

   2) 신종 병원체에 의한 인간 감염의 임상 역학 조사, 병원체의 기원 및 위험군 이해, 발병 이전의 증거 탐색

   3) 야생 및 가축과의 직간접적 노출 평가, 동물과 인간 간 전파 탐구, 병원체에 감염될 수 있는 동물 종 식별

   4) 환경적 노출이 병원체 감염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통한 예방 및 통제 조치 기여

   5) 병원체 유전체 정보를 통한 계통 발생적 관계, 인간 및 동물 간 순환 분석, 메타유전체 분석을 통한 숙주 상관관계 식별

   6) 실험실 내 생물안전 및 생물보안 문제 연관성 조사, 감염 또는 환경 유출 가능성 평가

 ○ 본 프레임워크의 두 가지 핵심 요소

   1) 병원체가 처음 확인된 국가의 정부, 공중보건 기관, 연구 기관, 현지 파트너들 간 긴밀한 협력 및 국제 기구의 지원 수용

   2) 모든 조사 결과에 대한 투명성으로 즉각적인 대응 조치를 통한 팬데믹 예방 


□ 글로벌 프레임워크 소개

 ○ 병원체의 인간 유입 경로 확인, 재 유입 위험 평가, 향후 일어날 수 있는 감염병 및 팬데믹 예방 필수적

   - 병원체 (재)출현 증가, 발병 조기 차단 중요, 통일된 접근 방식 필요 

   - 각국은 본 프레임워크에서 제시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역량을 지속적으로 구축하며, 국제보건기구(WHO)는 역량 구축에 필요한 준비 작업을 보완함

 ○ 2024년, WHO 감염병 잠재력이 큰 병원체 목록 추가(개선), 코로나19를 포함 한 '질병 X'와 같은 미지의 병원체 출현 가능성 확인

   - 감염병 및 팬데믹 발생가능한 고위험 병원체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동물에서 인간으로 전파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짐

   - 인간-동물 접촉 증가, 동물 시장,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병원체 전파 위험 증가

 ○ 발병 원인 조기 확인 가능한 경우, 인간 집단 내 대규모 확산 이전 전파 경로 차단

   - 사람 간 전파가 이미 진행 중인 경우, 동물 숙주, 매개체, 환경적 출처 확인을 통한 공중 보건 조치로 인간 집단으로 지속적인 재 유입 방지 가능

 ○ 발병 기원 조사를 위하여 발병 초기 장소에서 신속히 조사 실시, 관련 시료 신속 수집, 병원체 분리, 유전체 시퀀싱 및 특성화 수행 가능한 실험실로 시료 전달

   - 권장되는 조사는 기원이 불명확한 신종 병원체, 에볼라, 인플루엔자, 라싸열, 엠폭스와 같은 재출현 병원체도 적용됨

   - 본 프레임워크는 SARS-CoV-1, SARS-CoV-2, 조류 인플루엔자(H5N1), 라싸열, 지카, 에볼라, MERS-CoV, 엠폭스 등 다양한 병원체로 인한 발병 조사로 부터 얻은 경험 및 교훈을 포함함 

   - One Health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다양한 조사 방법 표준화 및 신속 보고 필요

 ○ 프레임워크의 과정은 선형적이거나 경직된 것이 아니며, 여러 조사가 병행되거나 다른 순서로 진행될 수 있음

   - 국가 당국이 WHO에 보고한 조사와 연구는 정기적으로 WHO 및 관련 기관과 결과를 공유해야 하며, 전문가 네트워크와 연계 필요


□ 기술적 요소로부터 도출된 증거 통합을 통한 기원 조사는 추가 연구 필요를 위한 중요 정보 제공을 위하여 다방면의 현상을 포괄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필수적임 

 ○ 기원 조사 결과 확인 즉시, 국내외 관련 이해 관계자 신속 보고, 포괄성 및 호환성 검토 및 논의, 통제 조치, 과학적 조사 다음 단계 추진

   - 조사된 감염병, 병원체 전반적인 영향에 대한 이해 향상, 결과 및 논의를 통한 병원체의 재출현 대한 종합적인 프레임워크 실행으로 신종 병원체의 기원 조사를 촉발 시킴

   - 감시 시스템에서 예상치 못한 신호 발견시 비정상적인 사건 시사 가능, 실제 위협 또는 잘못된 경보인지 확인 필요

   - 발병 된 해당 당국은 즉각적인 대응 시작, 본 프레임워크 활성화 고려

 ○ 신종 병원체의 기원 조사 촉발 요인 예시 

   - 출처가 불명확한 중등도에서 심각한 임상 증상을 동반한 인간의 급성 감염 사례군이 발생하는 경우

     · 발열 질환(호흡기, 신경학적, 출혈열 증상 포함 또는 미포함) 또는 기타 증상으로 인한 의료기관 방문, 입원 또는 설명할 수 없는 사망 증가 사례 포함

     · 특정 지역에서 발생, 타 역학 연관성을 지닌 사람들 간 발생

   - 감염 동물, 감염된 동물 식품, 곤충 물림 또는 환경적 요인(오염된 수원지, 식품, 생동물 시장 등) 또는 감염 위험이 높은 직업 연관 가능성이 존재하는 경우

   - 원인을 알 수 없는 급성 임상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돌보는 의료 종사자 집단의 중증도 또는 심각한 임상 증상을 발현하는 감염이 발생된 경우

     · 주요 증상으로는 호흡기 감염, 출혈열 증상, 신경학적 증상, 간염 또는 원인 불명의 열성 질환 등

   - 감염된 동물 또는 매개체와 접촉 직후 특정 인구 집단에서 급성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, 특히 새로운 지역에서 발생된 경우(일본 뇌염, 웨스트 나일 뇌염, 지카 등 아르보바이러스)

   - 알려진 병원체 발생 양상 또는 임상 결과 중 갑작스러운 설명이 부족한 변화가 발생된 경우, 지역 보건 시스템 또는 일상 감시 활동 중 관찰된 사망자의 증가

   - 감염병 및 팬데믹 가능성을 가진 알려진 병원체의 재출현

     · 혈액 매개 병원체 출혈열 바이러스(에볼라 바이러스, 마버그 바이러스 등), 엠폭스 바이러스, 천연두 (variola) 바이러스 또는 니파 바이러스

     · SARS-CoV, MERS-CoV, SARS-CoV-2의 신종 변이체(novel variants of concern) 등 기타 인수공통 호흡기 바이러스

     · 인간에게 전파된 인수공통 또는 특정 아형으로 분류되지 않는(unsubtypeable) 인플루엔자 및 타 인수공통 호흡기 바이러스

     · 감염병 잠재력을 가진 인수공통 세균 병원체(Yersinia pestis (폐페스트/선페스트))

     · 새로운 지역에서 출현하는 감염병인 인수공통 아르보바이러스(arboviruses), 야생형 폴리오바이러스 재출현, 독성이 증가한 병원체 등

 ○ 위와 같은 감염병 발생 사건은 국제보건규약(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, IHR, 2005)에 따라 국가 또는 국제 공중보건 당국으로 보고

   - 본 프레임워크에서 권장하는 조사를 활용하여 해당 국가의 긴급 발병 대응 계획 수립과 동시에 착수 되어야 함






원문 출처 Link